잠을 푹 자고 싶은데 자지 못해서 미치겠어요. (광주 20대초반/남 불면증)

2023.10.24

잠을 푹 자고 싶은데 맨날 중간에 깹니다. 문제는 중간에 깨서 다시 잠드려면 적어도 3~40분 정도는 누워있어야 합니다. 자주 그래서 처음에는 스마트폰 asmr 틀어놓고 자기도 하고 그랬는데 이제는 그것도 통하지를 않네요......스마트폰이 안 좋다는 이야기도 들어서 이후로 더 멀리 떨어뜨려두고 자는데 증상이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아서 스트레스입니다. 어떻게 하면 불면증이 가실까요?
  • #불면증
  • #불면증치료
  • #불면증원인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김하나입니다.

현재 불면증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많으실 것 같습니다.

이렇게 중간에 깨서 잠이 드는데 오랜 시간이 드는 것은

불면증 유형 중에서도 유지장애 불면증이라고 부르는

증상입니다. 잠을 자는 상태가 제대로 유지되지 못한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인데요. 이렇게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하면

밤만 괴롭지 않고 낮에도 졸립고 몽롱한 상태가 이어지게 됩니다.

그러면 공부, 업무에도 지장이 생기게 되며 짜증이 늘고

예민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면역력도 떨어지고 혈압과 혈당에도

악영향이 가게 되는데요. 성인의 정상 수면시간은 최소 6시간에서

최대 9시간 사이이기에, 가급적 이 수면시간을 지키시는 게 좋습니다.

이렇게 가급적 많은 잠을 자기 위해서는 낮잠 자지 않기, 자기 전에

따뜻한 물로 목욕하기, 저녁에 가볍게 산책하기, 침실 조명 어둡게 하기,

지루한 책 읽기 등 다양한 수면 팁을 활용해볼 수가 있겠는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잠이 들기 어려우면 치료를 받으시는 게

도움이 되겠습니다. 서양의학, 심리학, 한의학에서는 이것을

각기 다른 원인으로 발생한다고 보고 해석하여 치료하는데요.

서양의학의 경우 원인을 모르는 일차성 불면증, 정신이나

신체 장애로 인해 생기는 불면증으로 분류합니다. 심리학에서는

TV를 보면서 잔다거나 자기 전 스마트폰 사용, 지나친 낮잠,

알코올과 같은 수면을 취할 때의 부정적 조건들과 불량한

수면 위생으로 인해 생긴다고 보는데요. 한의학에서는

사결불수, 영혈부족, 음허내열, 심담허겁으로 보고 진료를

하게 됩니다. 본원에서는 이런 시각을 총체적으로 고려하여

신경계 조절 효과가 있는 침 뜸 치료, 개개인의 체질을

고려한 한약치료로 잠이 잘 오도록 도와드리는데요.

보험이 되는 상담치료까지 진행하여 수면에 도움이 되는

이완법을 가르쳐드리는 것은 물론 수면 방해 요인인

스트레스를 해소하도록 도와드리기도 하니 참고해서 진료 잘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2023.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