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가 먹먹해요 귀의 문제인지 턱의 문제인지도 모르겠네요.. (강남구 논현동 20대후반/여 이명)

2023.02.27

얼마전부터 귀가 먹먹한 증상이 생겼어요. 뭘 먹거나 자고 일어나서 먹먹함이 있고, 어떻게 하면 좀 풀리고 그래요. 마치 비행기 탔을 때 귀가 웅~하는 것같은 그런 느낌 말이죠. 평소 우측 턱에서 소리가 좀 나긴 하는 편이에요. 드드득~ 이런 소리가 입을 크게 벌릴 때 작게 나는 편.. 그 외에는 별다른 증상은 없어요. 왜그런가 싶어 이비인후과도 찾아가봤는데 속시원한 얘기는 못들었어요.. 귀청소도 받고 해봤지만 또 나네요. 시간이 지나면 그냥 사라질까요? 아니면 어디가서 치료해야 빨리 사라질까요? 귀의 문제인지 턱의 문제인지도 모르겠네요..
  • #이명
  • #턱관절소리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조석호입니다.

귀가 울리는 증상, 멍한 증상은 이명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이것이 과연 이비인후과적인 문제인지, 귀와 가까이 있는 턱이라는 관절과의 문제인지는 구별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이명은 청각과 관련된 문제를 일차적으로 고민해보게 되는데, 그 소리가 다양한 패턴으로 나오지요.

높은 날카로운 소리부터, 중저음의 낮은 소리까지.. 단발성의 소리에서 지속성의 소리까지 아주 다양합니다.

이런 이명은 어떠한 움직임에 반응을 잘 하지는 않고, 불시에 발연해서 지속되는 성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턱관절과 관련된 이명은 턱관절의 움직임에 바로 반응을 하게 되지요.

턱관절의 바로 뒷쪽에 이관이 존재합니다.

정상적 상황에서는 그 공간에 조금 여유가 있는데요. 턱관절이 손상되게 되면 주로 아랫턱뼈의 머리부위가 원래 있어야 할 연골판의 중심에서 밀려나 뒷쪽에 자리하게 됩니다.

그러다보니 청각과 관련된 문제를 야기할 수 있고, 이 문제는 마치 비행기에 타서 압력이 안맞을 때 처럼 먹먹한 느낌과 함께 나타나게 되지요.

문의하신 증상은 아마도 턱의 문제로 인해 야기된 이명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또한 평소에 턱관절에서 소리가 났다는 부분도 그 부분을 입증하지 않나 싶은데요.

이런 경우 턱을 정상화 시키는 것이 이명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위에 기록한 것처럼, 턱관절은 원래 연골판과 맞물리는 위치에 있어야 하는데, 손상이 되면 대개 뒷면으로 빠지면서 인대조직 등을 누르고 있게 됩니다.

따라서 이 상황을 개선하려면 턱을 제 위치에서 움직일 수 있게끔 만들어주는 치료를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한의원에서는 한의사가 직접 턱관절추나를 통해 환자분의 턱관절을 밀거나 당기고 조절하여 정상적 위치에 놓일 수있도록 도와줍니다.

또한 손상된 관절의 회복을 돕고 근긴장을 낮춰주는 침, 약침, 뜸시술 등을 병행하게 되지요.

치료는 아주 오래걸리지 않으며, 급여치료 부분이 많아 부담도 많지 않은 편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한의원에서 직접 진료를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3.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