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에서쓴맛이 나는데 무슨 치료를 해야 할까요? (서초구 40대초반/여 입에서쓴맛)
2023.05.32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김준명입니다.
입냄새, 입이 쓴 증상에 대한 문의를 하셨네요.
입이나 혀가 쓴 증상은 위장에서 위산이나 담즙이 역류할 때 발생하기도 하고, 설염, 구내염, 이상미각,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입냄새와 관련된 입이 쓴 증상은 위산이나 담즙이 역류할 때 나타날 수 있는 증상입니다.
입냄새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을 할 수 있는데, 입냄새의 특징과 동반 증상, 환자의 신체적 특징, 생활 양식, 평소 가지고 있는 질환 등을 바탕으로 원인을 찾게 됩니다.
입냄새 진료를 하다 보면 소화기의 이상으로 인해 냄새가 나는 분들이 많은 편입니다.
입냄새와 함께 동반되는 증상을 여쭤보면 소화불량. 속쓰림. 위산 역류 등의 증상을 호소하는 분들이 많고 평상시 식생활에 문제가 있는 분들이 상당히 많습니다.
구강은 위장-식도로 이어져 있으므로 직접 위-식도 역류를 통해 냄새가 올라오기도 하고, 소화기능이 안좋을 때 설태 증가. 침분비 이상 등 구강 환경이 나빠지면서 냄새를 유발하기도 합니다.
또한 간혹 소화 과정 중에 생기는 가스가 혈액으로 흡수되었다가 호흡을 통해 배출되기도 합니다.
경험 상 치과적인 원인을 제외하면 소화기의 원인으로 인한 경우가 제일 많은 것으로 보입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내시경 상에 이상이 없고, 소화불량 등 증상도 없으나 평상 시의 식습관, 자주 먹는 음식의 종류 등의 영향으로 입냄새가 나는 경우도 있는데 크게 보면 이 경우도 위장 등 소화기 문제로 볼 수 있습니다.
구강의 문제가 아닌 속에 문제가 있어 발생하는 입냄새는 양치질을 열심히 해도 해결되기 어렵습니다.
입냄새는 소화기 이상. 침분비 이상. 설태 증가. 구강환경 악화 등 기능적인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전체적인 관점에서 치료를 할 수 있는 한의학 치료가 효과적입니다.
입냄새는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데 치과적인 원인으로 인한 경우는 대부분 치과 치료로 해결이 되는 편이며, 치과적인 원인 외에 발생하는 냄새는 관련 증상, 냄새의 특성 등을 확인해서 원인을 찾아야 합니다.
치과적 원인 외로는 구강 인접 부위의 문제( 비염, 축농증 등의 코질환, 편도선 등 인후부 질환), 소화기의 문제, 전신적인 문제(쇠약. 피로. 당뇨, 갑상선항진증, 쇼그렌증후군 등)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코질환, 인후부 질환으로 인해 입냄새가 나는 경우는 해당 질환의 증상이 많이 심한 경우에 해당이 됩니다. 비염이나 편도선염. 인후염 등의 증상은 가벼운데 입냄새만 심하게 나게 될 확률은 희박합니다. 따라서 비염 등의 문제로 입냄새가 심한 경우에는 감별이 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입냄새가 나는 원인은 다양한 편이니 전문적인 치료를 하는 곳에서 본인 증상에 대해 자세하게 확인을 하시고 원인에 맞춰서 치료를 하시는게 좋습니다.
입냄새는 뚜렷한 질병이 원인인 경우도 있지만 소화이상. 침분비 이상. 설태 증가. 구강환경 악화 등 기능적인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전체적인 관점에서 치료를 할 수 있는 한의학 치료가 효과적입니다.
잘 치료 받으시고 쾌유 하시길 바랍니다.
2023.05.32
